국내 [서울신문] 연극 무대 위에 쏟아낸 나의 은둔 이야기… ‘해묵은 고립’ 덜어냈다 [청년, 고립되다]
- happitory
- 290
- 0
4년 넘게 방 안에 갇혀 있었던 유승규(29)씨는 “은둔도 스펙”이라고 말한다. 은둔했던 경험으로 누군가를 돕는다면 은둔은 더이상 감춰야 할 과거가 아니라는 생각에서다. 이런 경험을 토대로 유씨는 고립청년을 돕기 위해 ‘안 무서운 회사’를 차렸다.
회사명을 ‘안 무서운 회사’로 정한 이유는 허술해 보이기 위해서라는 게 유씨의 설명이다. 회사 이름이 너무 완벽해 보이면 사람들이 찾아와 고민을 털어놓을 수 없다는 것이다.
유씨는 18일 “대학에 안 가면 당장 무슨 일이 일어날 것 같고 세상이 끝날 것처럼 얘기하지만 사실 별일 안 일어난다”면서 “세상이 딱히 별게 아닌데 사람들이 세상을 무섭게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한때 연극배우를 꿈꿨던 유씨는 연극이 은둔을 벗어나는 데 효과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연극을 통해 실생활과 비슷하면서도 훨씬 더 섬세하게 감정을 느끼고 표현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다”면서 “처음에는 대화에 끼지 못하고 멀리서 지켜보기만 하던 사람도 연극을 하면서 감정 표현이 느는 등 상당히 달라진 모습을 볼 수 있었다”고 말했다.
●부모님과 가까워지는 계기
실제 유씨의 회사는 행복공장, 푸른고래리커버리센터와 함께 고립청년이 무대에 서서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내는 연극 ‘출구 없는 방’을 기획했다. 지난 1일 서울 중구 명보아트홀에서 진행된 이 연극을 직접 관람해 보니 1부는 고립청년 10여명이 등장해 100여명의 관객 앞에서 직접 공연을 하고 2부는 관객이 무대에 올라 연극 속 불행한 상황을 바꿔 보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이번 공연에 참여했던 청년 A(25·은둔 기간 4년)씨는 “연극을 통해 감정을 표현하니 내면에서 표현되지 못하고 쌓여 있던 것을 해소할 수 있었다”면서 “부모님이 연극을 보러 오셔서 저를 이해하려고 하시는 게 느껴져 더 가까워질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6년간 은둔 생활을 했던 B(31)씨도 “이 나이 먹도록 아무런 인간관계가 없는 제 모습에 조급함이 생겨 빨리 친해지려다 보니 새로운 사람을 만날 때마다 눈치를 많이 보게 되고 말실수를 많이 했다”면서 “연극캠프를 통해 여러 가지 상황에서 사람들은 어떤 식으로 행동하고 달라지는지, 다른 사람과 있을 때 어떻게 행동하는지 알 수 있었다. 빨리 친해져야 한다는 강박도 어느 정도 사라졌다”고 했다.
다만 연극을 준비하는 과정은 이들에게 큰 도전이었다. 3년 동안 은둔했다는 C(30)씨는 “연극을 같이 만들어 가는 게 좋았다”면서도 “체력이 생각보다 많이 필요하고 과거 트라우마가 겹쳐 보여 연습할 때 고통스러웠다”고 했다.
●지자체·센터가 먼저 손 내밀어야
고립 상태에선 일상이 깨지기 마련이기 때문에 변하겠다는 의지만 있다면 공동체 생활도 도움이 된다. 유씨는 “제가 과거 공동생활을 하는 단체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 희망을 가진 것처럼 ‘돕는 단체’가 있다는 기대를 심어 주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고립청년을 돕는 김옥란 푸른고래리커버리센터장은 “고립 상황에서는 이미 가족과 대화가 단절돼 있거나 갈등이 심각하기 때문에 만나는 사람을 또래이면서도 비슷한 어려움을 공유한 사람들로 바꿔 줄 필요가 있다”면서 “공동생활을 통해 흐트러진 생활 습관을 규칙적으로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센터에선 10명의 고립청년이 함께 지내면서 야구단·예술단 활동 등을 한다.
문화예술을 통해 청년 문제를 해결하는 ‘사단법인 오늘은’은 청년 작가가 고립청년의 이야기를 듣고 이를 그림으로 그리는 ‘청년 zip(집)중’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오는 9월 전시회도 열린다.
서울 성북구의 청년이음센터 도움으로 고립을 극복한 박청담(34)씨는 “고립이 심한 상황에선 자신이 먼저 프로그램을 찾아 참여하는 데 한계가 있다”면서 “직접 와서 참여하라는 식이 아니라 지자체나 센터에서 적극적으로 나서 사례를 발굴하고 어떻게든 밖으로 나갈 수 있게 계속해서 자극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자녀가 고립되면 부모도 고립”
고립청년과 함께 지내는 가족에 대한 지원도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초·중학교 시절 학교폭력을 겪고 은둔 생활을 하는 자녀를 둔 D씨는 “초반에 부모 입장에서 일방적으로 얘기했다가 아들이 대화의 문을 완전히 닫아 버려 해결 방안을 찾을 수 없게 됐다”고 고충을 털어놓았다. 그러면서 “최근 시에서 은둔형 외톨이 상담 부서를 운영한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접촉할 만한 정보나 용기도 없다”며 “어떠한 답을 제시하기보다 사회 전체의 공감대를 이끌어 내는 노력이 우선돼야 할 것 같다”고 했다.
주상희 한국은둔형외톨이부모협회 대표는 “자녀가 고립되면 부모도 고립된다”면서 “부모를 위한 심리상담, 교육 서비스에 대한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자녀의 고립은) 부끄러워할 일이 아니며 외부의 도움을 받아야 할 일”이라면서 “독서모임, 자조모임에 참여하고 전문가 상담을 받을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곽소영 기자
신융아 기자
최영권 기자
출처: 서울신문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20719009003